본문 바로가기
디자인웨일

3D프린팅 출력오류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2. 3.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시제품 개발 전문기업 디자인웨일입니다.

 

 

 

 

 

 

 

1. 필라멘트 압출 불량

 

 

 

프린트 도중에 갑자기 출력이 중단되는 현상입니다.

필라멘트의 공급 또는 핫엔드에 문제가 생겼거나, 필라멘트를 밀어주는 아이들러의 강도나

압출기가 정리가 되어 있지 않거나 노즐이 베드에 너무 가까울때 등의 경우에 발생합니다.

 

해결방법

 

① 필라멘트가 손상되었거나 미끄러지는지 확인

② 노즐이 막혔는지 확인

③ 필라멘트가 중간에서 부러지지 않았는지 확인

 

 

 

 

 

2. 출력물이 베드 위에 안착 되지 않음

 

 

프린트 중에 출력물이 베드에 잘 붙어있지 않고, 출력 중에 떨어지는 증상입니다.

이럴 경우 필라멘트들이 출력물에 안착하지 않고, 여기저기 엉켜붙게 됩니다.

 

프린트의 수평이 맞지 않아 첫번째 레이어의 인쇄가 정확하지 못하여서 발생합니다.

노즐이 베드로부터 너무 떨어져 출력을 시작하고, 프린팅 속도가 너무 빨라도 발생합니다.

 

해결방법

 

① 출력물을 고정시키는 풀이나 테이프을 사용합니다.

② 프린트의 수평을 확인합니다.

③ 노즐의 높이를 확인합니다.

④ 베드를 깨끗이 닦아봅니다.

⑤brim 또는 skirt 값을 설정하여 닿는 부위를 넓힙니다.

 

 

 

 

 

3. 바닥부분이 튀어나오는 현상 (엘리펀트 풋)



코끼리발 현상이라고도 부릅니다. 바닥 부분이 약간 튀어나온 증상입니다.

히트베드가 있는 프린터에서 주로 발생하는데요.

히팅베드의 온도는 높지만 주위 공기가 차가울 때 생깁니다.

 

해결방법

 

① 베드의 온도와 쿨링팬 스피드를 조절해줍니다.

② 베드의 높이를 조절해줍니다.

③ 노즐을 조금 높여줍니다.

 

 

4. 작은 구조 출력오류

 

 

노즐 크기보다 작은 형상을 출력하려고 할 때 생기는 증상입니다.

프린터의 종류와 성향에 따라 출력가능한 크기가 한정되어 있습니다.

작은 형상을 출력해야하는 경우 초소형 인쇄에 대해 옵션을 고려해야합니다.

 

해결방법

 

① 좀 더 두꺼운 형상으로 재디자인 합니다.

② 좀 더 작은 팁사이즈의 노즐로 교체합니다.

 

 

 

5. 압출과잉(Over-extrusion)

 

소프트웨어를 통해 압출 설정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프린터에서 과다한 필라멘트가 압출되는 증상입니다.

 

해결방안

 

① 셋팅을 반대방향으로 조정합니다.

- 소프트웨어로 각도와 횟수 조절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프린터 출력 속도를 줄이면 적당한 양의 필라멘트가 압출됩니다.

 

 

 

 

 

6. 압출부족(Under-extrusion)

 

 

노즐 안의 플라스틱양이 적거나,

소프트퉤어에서 압출설정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아

적은 필라멘트가 압출되는 증상입니다.

 

해결방안

 

① 셋팅을 반대방향으로 조정합니다.

- 압출과잉과는 반대로 프린터 출력 속도를 늘리면 적당한 양의 필라멘트가 압출됩니다.

 

 

 

 

7. 출력물 상단에 구멍이 생김

 

 

출력물 상단 표면에 구멍이 뚫리는 증상입니다.

상단 솔리드 레이어가 충분하지 앟고 채우기 비율이 낮을 때 발생합니다.

또는 압출부족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해결방안

 

① 상단(외부) 솔리드 레이어의 수를 늘립니다.

 

② 채우기 비율을 더 늘립니다.

: 다만 채우기 비율을 더 늘릴시에 출력시간이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

 

 

 

8. 스트링현상

 

융용상태의 필라멘트가 노즐에서 나와서 안착 후 굳어지지 않고

노즐이 다음 지점으로 이동하면서 흘러나온 융용피랄멘트가

이동 경로에 실처럼 남게 됩니다.

 

 

해결방법

 

① 온도조절

온도가 너무 높으면 노즐 내부의 플라스틱이 덜 점성이 되어 노즐에서 훨씬 더 쉽게 누출됩니다.

그러나 온도가 너무 낮으면 플라스틱이 여전이 다소 단단해 압출하기 어려우니 잘 조절해야 합니다.

 

 

② 리트렉션 거리, 속도 설정

리트렉션 거리반대방향으로 필라멘트를 잡아당기는 거리입니다.

역으로 잡아당기는 거리가 클수록 스트링 현상이 줄어들지만 너무 과하면 압출 불량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리트렉션 속도융용 필라멘트가 공급이 되고, 다음 지점으로 이동할 때 융용 필라멘트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필라멘트를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잡아당기는 속도입니다.

 

 

③ 속도 설정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스트링 현상이 줄어듭니다.

너무 빨리 집어넣으면 필라멘트가 노즐 내부의 뜨거운 플라스틱에서 분리되거나 드라이브 기어의 빠른 움직임으로 인해 필라멘트 조각이 갈릴 수 있습니다.

 

 

 

9. 압출기 막힘 현상

 

 

이러한 막힘현상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의 자유로운 압출을 차단하는 노즐 내부의 문제로 발생합니다.

 

해결방법

 

① 필라멘트를 압출기에 수동으로 밀어 넣습니다.

② 압출기를 플라스틱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합니다.

③ 녹은 필라멘트를 다른 필라멘트로 밀어냅니다.

 

 

 

 

 

10. 인쇄면의 선

 

 

보통 표면이 매끄럽게 출력되지만, 프린터에 문제가 있는 경우 레이어가 눈에 띄게 선으로 보이게 됩니다.

 

해결방법

 

① 기계적변화를 살핍니다.

: 기계적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인쇄하는 동안 인쇄 베드가 흔들리거나 진동하면 노즐 위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11. 들뜸

 

큰 개체를 인쇄하다보면 출력물이 베드에 성공적으로 부착되었지만

나중에 부품이 말리고 변형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말림 현상이 너무 심하면 실제로 개체의 일부가 베드에서 분리되어 전체적으로 인쇄가 실패하게 됩니다.

주로 ABS와 같은 고온재료로 매우 크거나 매우 긴 부품을 인쇄할 때 발생합니다.

 

 

해결방법

 

① 가열베드 사용

: 하단 레이어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열 베드를 사용합니다.

가열베드를 사용하면 플라스틱 수축량이 크게 줄어듭니다.

 

② 팬 냉각 비활성화

: abs와 같은 재료로 인쇄할 때는 외부 냉각 팬을 완전히 비활성화 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모든 레이어가 더 오랜 시간 동안 따뜻하게 유지되어 성공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③ 가열 인클로저

가열 베드는 아래쪽 레이어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더 크고 긴 개체를 인쇄하다보면 부품의 위쪽 레이어가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네는 전체 빌드 볼륨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인클로저 내부에 프린터를 배치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12. 브릿지 출력오류

 

 

적층되는 필라멘트끼리 서로 붙지않고 분리되는 증상입니다.

브릿지는 서포트를 사용하지 않고 공중에 프린팅하여 분리되어 있는 객체를 연결하는 프린팅방법을 말합니다

보통 짧은 거리에서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프린터에 문제가 있다면 짧은 거리임에도 브릿지 출력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원인은 브릿지의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인데요.

이 거리는 프린터와 재료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쿨링 역시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필라멘트의 쿨링이 빨라야 브릿지가 잘 생성됩니다.

출력의 속도와 노즐의 온도 역시 영향을 미칩니다.

 

해결방법

① 서포트를 사용해봅니다.

② 쿨링 팬의 속도를 높여봅니다.

 


 

 

오늘은 3D프린팅 출력오류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시제품제작 상담과 제작의뢰는

디자인웨일로 문의 주시면 성심성의껏 빠르게 답해드립니다.

문의사항은 디자인웨일 홈페이지와 이메일로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https://www.design-whale.com/contact

 

시제품 | 시제품 제작 맛집 | Daegu

시제품, 목업 제작 전문 기업 디자인 웨일입니다 : ) 기구설계, 회로설계, 제품제작, 제품개발, 제품기구설계, 지그, 목업, 디자인목업, 시제품제작, App디자인

www.design-whale.com

 

이메일:

info@design-whale.com

지금까지 시제품 개발전문기업 디자인웨일이었습니다.

 

반응형

'디자인웨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투스 모듈의 특징  (0) 2022.03.25
조도센서의 특징  (0) 2022.03.24
정부 창업 지원사업 지원내용  (0) 2022.03.21
좋은 창업 아이템 찾는 법  (0) 2022.03.18
무선 휴대용 제품 속 배터리  (0) 2022.03.17

댓글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