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제품 개발 전문기업 디자인웨일입니다.
우리 모두에게 생활의 일부분을 넘어
분신과도 같은 존재가 되어버린 스마트폰!
없어서는 안 될 필수템이 된 스마트 폰 속에는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되어 있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스마트폰 센서의 종류와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가속 센서 (Acceleration Sensor)
가속센서는 스마트 폰이 움직이는 속도의 변화나 충격등 힘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X(가로),Y(세로),Z(앞뒤)로 좌표를 만들고 이 좌표의 움직이는 속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모션 센서 중 하나입니다.
주로 움직이는 물체 또는 스마트폰의 속도를 측정하며
러닝이나 라이딩의 기록용 애플리케이션이 대표적입니다.
2. 자이로 센서 (Gyro Sensor)
자이로 센서는 가속 센서와 함께 대표적인 모션 센서입니다.
X, Y, Z 좌표에서 움직이는 방향을 측정할 때 사용합니다.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면 스마트폰을 바닥에 놓고 있다 집어 올렸을 때
특정한 앱을 실행하거나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레이싱 게임을 할 때 스마트폰을 기울이면 자동차가 방향을 바꾸는 것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것입니다.
3. 근접센서 (Proximity Sensor)
스마트폰으로 전화를 할 때 자동으로 화면이 꺼지는 현상을 보신 적 있을겁니다.
이때 사용되는 센서가 근접 센서입니다.
보통 스마트폰의 앞면에 있으며 통화용 스피커 옆에 위치합니다.
폰과 사용자의 얼굴이 가까워졌다는 것을 인식해 자동적으로 화면을 종료시켜
통화 중 불필요한 터치를 방지해 줄뿐만 아니라 절전효과까지 누릴 수 있습니다.
4. RGB 센서 (RGB Sensor)
RGB 센서는 주변 빛의 색 농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합니다.
RGB 센서가 있는 스마트폰은 주변 빛 농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색을 보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란색 전등이 있는 곳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이에 대응해서
노란색을 낮추고 파란색과 녹색을 더 밝게 해서 자연스러운 화면 색을 구현하게 됩니다.
5.밝기 센서 (Light Sensor)
조도 센서라고도 하며 주변 빛의 밝기를 감지합니다.
이 센서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때 사용하며, 보통 근접 센서 옆에 있습니다.
주변의 빛이 밝으면 스마트폰 화면을 더 밝게 해주고,
어두운 곳에서는 화면을 어둡게 해서 눈의 피로를 줄이고 가독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6. 지문 인식 센서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지문 인식 센서는 말 그대로 사람의 고유한 지문 패턴을 읽을 수 있는 센서입니다.
지문에서 위로 튀어나온 부위인 '융선'과 안쪽으로 들어가 있는 '골'의 패턴을 읽어내는 겁니다.
주로 스마트폰의 보안을 위해 사용됩니다.
요즘은 잠금 기능뿐 아니라 다양한 어플의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아주 편리한 기능입니다.
7. 지자기 센서 (Geo-magnetic Sensor)
지구의 자기장을 탐지해 방위를 알 수 있는 센서입니다.
주로 디지털 나침반 기능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며,
이 센서가 있으면 나침반 앱을 이용해 방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GPS와 조합되어 위치기반서비스(LBS)를 구현하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스마트폰 센서의 종류와 원리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그동안 알지 못했던 많은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요.
앞으로 등장할 새로운 기기에는 또 어떤 센서들이 개발되어 나올지 기대가 됩니다.
시제품제작 상담과 제작의뢰는
디자인웨일로 문의 주시면 성심성의껏 빠르게 답해드립니다.
문의사항은 디자인웨일 홈페이지와 이메일로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https://www.design-whale.com/contact
이메일:
info@design-whale.com
지금까지 시제품 개발전문기업 디자인웨일이었습니다.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발전시스템 유형 3가지 (1) | 2023.11.24 |
---|---|
변색렌즈의 원리 (0) | 2023.11.24 |
물에 젖지 않는 성질, '초소수성' (1) | 2023.11.24 |
신재생에너지와 재생 가능 에너지의 차이점 (0) | 2023.11.24 |
새로운 에너지 수급 시스템, 분산에너지 (2) | 2023.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