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제품 개발 전문기업 디자인웨일입니다.
오늘은 실리콘의 경도와 컬러출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D프린팅은 실리콘 출력도 가능한데요.
몰드로 실리콘을 출력하면 제작 비용이 상승하고 기포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3D프린팅은 적층방식으로 실리콘을 출력하기 때문에
비용도 비교적 저렴하고 기포를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원하는 경도를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어 자유도가 높습니다.
경도는 물체를 눌렀을 때 그 물체의 변형에 대한 저항력의 크기를 말하는데요.
경도의 종류도 측정법에 따라 브리넬 경도, 록크웰 경도, 쇼어 경도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실리콘에 사용되는 경도는 쇼어 경도(Shore A)로
무른 고무, 연질 플라스틱의 단단함 정도를 Shore A 경도계로 측정한 0~100 사이의 값이라고 합니다.
경도가 낮을수록 말랑말랑하고 경도가 높을수록 단단합니다.

다양한 경도별로 실리콘을 컬러출력해보았습니다.
왼쪽 빨강부터 각각 30, 40, 50, 60, 80, 90 입니다.
실리콘은 흰색이나 투명 뿐만 아니라 원하는 컬러 출력도 가능합니다.
30~40


경도 30의 빨간색 실리콘과 40의 주황색 실리콘입니다.
빨간색 실리콘은 아직 힘을 가하지 않았는데도 이미 일그러진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손가락으로 약하게 눌러도 쉽게 형태가 변합니다.
주황색 실리콘은 빨간색 실리콘에 비해 형태를 잘 유지 하고 있습니다.




빨간색 실리콘을 앞 뒤로 구부려 보았더니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쉽게 변형이 됩니다.
주황색 실리콘은 빨강색 실리콘 만큼은 아니지만 작은 힘에도 쉽게 구부러집니다.
50~60


경도 50의 노란색 실리콘과 60의 초록색 실리콘입니다.
빨강, 주황 실리콘에 비해서 조금 더 단단해지고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습니다.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도 잘 일그러지지 않습니다.




두 모형 모두 딱딱하지는 않아도
이전의 실리콘들보다 구부릴 때 힘이 더 필요해졌고
형태를 더 잘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80~90


경도 80의 남색 실리콘과 90의 보라색 실리콘입니다.
앞선 경도의 실리콘들보다 말랑한 느낌은 거의 없어지고 빳빳해졌습니다.
손가락으로 누를 때도 힘을 많이 줘야 할 정도로 단단해졌습니다.




양면으로도 구부려보았는데요.
뒷면은 구부러지기는 하지만 빳빳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구부러지고
앞면은 거의 구부러지지 않습니다.


모형 위 구조물들도 거의 일그러지지 않는 모습을 보입니다.

경도 30과 90의 실리콘모형을 비교해봤는데요.
육안으로 봐도 빨간색 실리콘 쪽이 더 경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측면으로도 살펴보았더니
보라색 실리콘쪽의 구조물이 더 우뚝 서 있는게 보입니다.
실리콘은 경도에 따라서 쓰임새가 달라지는데요.
복잡한 형태를 뽑거나, 강도가 약한 소재용으로 사용할 때는 경도가 낮은 실리콘을,
정밀 제품 제작용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는 경도가 높은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경도가 낮은 실리콘은 전자 제품 커버로 주로 쓰이고
경도가 높은 실리콘은 레진 또는 비누 몰드로 많이 사용합니다.
실리콘으로 시제품을 제작할 예정일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실리콘의 경도와 컬러출력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시제품제작 상담과 제작의뢰는
디자인웨일로 문의 주시면 성심성의껏 빠르게 답해드립니다.
문의사항은 디자인웨일 홈페이지와 이메일로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시제품 | 시제품 제작 맛집 | Daegu
시제품, 목업 제작 전문 기업 디자인 웨일입니다 : ) 기구설계, 회로설계, 제품제작, 제품개발, 제품기구설계, 지그, 목업, 디자인목업, 시제품제작, App디자인
www.design-whale.com
이메일:
info@design-whale.com
지금까지 시제품 개발전문기업 디자인웨일이었습니다.
'디자인웨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어(gear)의 특징 (0) | 2022.04.05 |
---|---|
풍속센서의 특징 (0) | 2022.04.04 |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NPD) (0) | 2022.03.30 |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이유 (0) | 2022.03.30 |
사업계획서가 필요한 이유 (0) | 2022.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