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제품 개발 전문기업 디자인웨일입니다.
오늘은 환경호르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환경호르몬이란?
우리가 흔히 환경호르몬이라 알고 있는 것의 정식 명칭은 ‘내분비교란물질(EDC,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입니다.
일상 속에서 노출되는 여러 화학물질 중 인체 내부에 존재하는 호르몬들의 작용에 영향을 주는 종류를 포괄적으로 지칭합니다.
2.환경호르몬의 노출경로
일부 환경호르몬의 예
|
환경 중 노출원의 예
|
농약류
|
다양한 식품
|
다이옥신류
|
소각장, 염소화합물이 연소될 때
|
할로겐 유기화합물류
|
건축내장재, 가구, 전자제품
|
비스페놀 A
|
플라스틱 용기, 통조림, 영수증
|
알킬 페놀
|
합성세제
|
프탈레이트
|
각종 플라스틱 제품
|
스티렌
|
컵라면 용기
|
중금속
( 납, 수은, 카드뮴 ) |
아말감, 배기가스, 어패류와 같은 일부 식품
|
지금까지 발견된 내분비교란물질은 1000개 이상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노출되고 있습니다.
내분비교란물질은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음식이나 음료를 먹을 때 입을 통해 우리 몸으로 들어오며,
화장품이나 선크림을 바를 때 피부를 통해 우리 몸에 흡수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영수증을 만질 때나 아웃도어 의류를 입을 때에도 노출됩니다.
3.건강에 미치는 영향
우리 몸에서 내분비 신호전달체계에 끼어들어 마치 자신이 호르몬인 것처럼 행세하여 부적절한 호르몬작용을 나타냅니다.
호르몬 수용체에 결합하여 호르몬의 경쟁적 저해제로 작동하여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거나
호르몬이 없는데도 호르몬 효과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플라스틱병, 식품용기, 유아용 젖병, 영수증 등에 쓰이며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비스페놀 A의 경우
소아의 성조숙증, 소아와 성인의 비만 및 복부비만의 위험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어린이 장난감, 화장품 용기, 의료기기 등에 사용되는 프탈레이트의 경우
여아에서 조기 유방발육이나 소아의 성조숙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프탈레이트에 과다 노출된 산모로부터 출생한 아기는 성장과정에서 근육 발달이 저하되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프탈레이트가 비만 및 당뇨병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환경호르몬에 대한 대책
화학물질들 중에서도 특히 지용성이 높으면서 먹이사슬을 통하여 농축되는 특성이 있는 종류들이
환경호르몬으로서 문제점이 더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지용성이 높은 다양한 환경호르몬들의 노출을 전반적으로 낮춰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체내에 들어와 축적된 환경호르몬들의 배출을 가능한 한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의 배출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흰쌀보다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된 현미로 주식을 바꾸고,
가공식품보다는 자연식품을 선택하며, 다양한 색깔을 가진 채소와 과일, 콩 등의 섭취를 늘리면서
적절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환경호르몬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시제품제작 상담과 제작의뢰는
디자인웨일로 문의 주시면 성심성의껏 빠르게 답해드립니다.
문의사항은 디자인웨일 홈페이지와 이메일로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https://www.design-whale.com/contact
이메일:
info@design-whale.com
지금까지 시제품 개발전문기업 디자인웨일이었습니다.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속재료의 고유저항이란? (0) | 2023.05.09 |
---|---|
셰이퍼란? (0) | 2023.05.09 |
인포테인먼트란? (0) | 2023.05.09 |
인버터란? (0) | 2023.05.09 |
교통정체 그만, 에어택시란? (0) | 2023.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