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글

금속재료의 고유저항이란?

by 자연!!!! 2023. 5. 9.
반응형

 

 
                                                         안녕하세요 시제품 개발 전문기업​ 디자인웨일 입니다.

​금속 재료의 저항은 특정 재료와 온도, 순도 및 기타 요인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금속 은 전자 이동도가 높고 원자 구조가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비금속보다 저항률이 낮습니다.

또한 원자량이 높은 금속은 원자핵에 의한 전자의 더 큰 산란으로 인해 원자량이 낮은 금속보다 저향이 더 높 은 경향이 있습니다.

오늘은 금속재료의 고유저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 금속(도체)

전선 내 전기가 직접 통하는 부분인 구리가 바로 도체가 됩니다,

도체란 전기전도체의 약자로 전기전도체는 전도도가 높아서 전기가 통하기 쉬운 재료를 말합니다.

특히 구리는 단순히 전선의 도체뿐만 아니라 파이프, 동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재활용 할 수 있는 금속입니다,

즉, 금속은 모두 전기가 통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금속 재료의 비저항 특성

• 온도 의존성

원자의 열 진동에 의한 전자의 산란 증가로 인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의 금 속의 저항률이 증가합니다.

그러나 초전도체와 같은 일부 금속은 매우 낮은 온도에서 저항이 0 입니다.

• 순도 의존성

금속 재료의 저항률은 전자의 산란 중심 역할을 하고

저항률을 증가시키는 불순물 및 결함과 함께 순도에 크게 의존합니다.

• 합금 의존성

합금의 저항은 특정 조성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일부 합금은 전자 구조 및 격자 간격의 변화로 인해 구성 금속보다 저항이 낮습니다.

 

3. 도체와 부도체를 구분 짓는 값, 고유저항

고유저항이란 바로 도체의 고유의 저항값입니다.

                                              영어 소문자 p와 비슷한 글자는 고유저항이라고 하며 로(Rho)라고 읽습니다.

단위는 [Ω・mm2/m]를 사용합니다.

즉, 저항이란 고유저항과 길이에 비례하고 굵기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유저항이 크면 클수록 저항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금속의 고유 저항 테이블

 

4. 비저항이 다른 금속 재료의 종류

• 구리

구리는 저항이 낮은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전기 배선 및 낮은 저항이 중요한 기타 응용 분야에 이상적인 소재입니다.

• 은(Silver)

은은 구리보다 저항률이 훨씬 낮지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 금

금은 저항이 낮은 또 다른 전도성이 높은 금속이지만 가격이 비싸고

구리만큼 널리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 알루미늄

알루미늄은 구리보다 전도성이 낮지만 더 가볍고 저렴하기 때문에

동력 전달 및 기타 응용 분야에 널리 사용됩니다.

• 니켈

니켈은 구리보다 저항이 높지만 고유한 특성이 중요한 합금 및 기타 용도에 일반적으로 사 용됩니다.

 

5. 결론

비저항은 많은 전기 및 전자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금속 재료의 핵심 특성입니다.

저항 값이 다른 금속 재료의 특성과 유형을 이해하는 것은

주어진 응용 분야에 가장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올바른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엔지니어와 설계자는 비용 및 기타 요인을 최소화하면서

장치의 성능과 효율성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금속재료의 고유저항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시제품제작 상담과 제작의뢰는

디자인웨일로 문의 주시면 성심성의껏 빠르게 답해드립니다.

문의사항은 디자인웨일 홈페이지와 이메일로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https://www.design-whale.com/contact

이메일:

info@design-whale.com

지금까지 시제품 개발전문기업 디자인웨일이었습니다.

 

반응형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저 가공이란?  (1) 2023.05.09
친환경 신소재란?  (0) 2023.05.09
셰이퍼란?  (0) 2023.05.09
환경호르몬이란?  (0) 2023.05.09
인포테인먼트란?  (0) 2023.05.09

댓글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