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J6HdB/btsAIFe7ZIO/1rVY8Kt4JCH4Vk0FZAzIF0/img.png)
안녕하세요 시제품 개발 전문기업 디자인웨일입니다.
오늘은 수소 연료 전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수소 연료 전지란?
![](https://blog.kakaocdn.net/dn/cnQVu2/btsAJD83OJ2/PF1kb52OpqweDOXdOEK4G0/img.jpg)
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입니다.
수소 공급을 통해 지속해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으며, 온실가스가 전혀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소형 모빌리티부터 대규모 발전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수소 연료 전지는 발전기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70Ow6/btsAJHQ2g2I/Cbs7E8RnkQUXyXUNYGz5Lk/img.jpg)
수소연료전지는 이름만 보면 전기를 저장하고 있는 전지(배터리)라고 생각되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전기를 직접 만드는 발전기의 일종입니다.
배터리는 미리 저장해 놓은 전기를 필요할 때 사용하는 장치인 반면,
수소연료전지는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를 직접 생산하는 장치입니다.
수소연료전지는 전기 생산과정에서 온실가스가 전혀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 발전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3. 수소 연료 전지의 구동원리
![](https://blog.kakaocdn.net/dn/b2eAXt/btsAFEVRtYb/P6IMoDCK9WSR9RuyoD3ZJk/img.png)
수소연료전지의 기본 구성요소는 양극(+), 음극(-), 그리고 전해질입니다.
여기서 전해질은 수소이온(H+)이 이동하는 통로입니다.
① 수소연료전지에 공급된 수소(H2)는 음극(-)에서 수소이온(H+)과 전자(e-)로 분리됩니다.
② 분리된 전자(e-)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흐르며 전기를 생산합니다.
③ 전해질을 통과한 수소이온(H+)은 산소(O2)와 만나 물(H2O)이 되어 배출됩니다.
4. 수소 연료 전지의 장점
1 ) 수소연료전지는 친환경적입니다.
전기 생산과정 중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습니다.
2 ) 수소연료전지는 소음과 진동이 적게 발생하고,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도 있습니다.
3 ) 수소연료전지는 에너지 효율이 높습니다.
화력발전의 경우, 연료를 연소하고(열에너지) 터빈을 사용(운동에너지)하는 등 전기를 만들기 위해
에너지의 형태를 변환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지만
수소연료전지는 수소를 전기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적습니다.
5. 수소 연료 전지의 활용
![](https://blog.kakaocdn.net/dn/c0eeJN/btsAF65EzAF/1Mre2UIP70mOttSUZqxCvk/img.jpg)
1 ) 모빌리티(수송) 분야
수소는 가볍고 밀도가 높아 주행가능거리가 길고 출력이 높습니다.
따라서 트럭, 버스, 지게차, 트램 등 육상 분야는 물론 드론과 같은 항공 분야에서도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TVbm/btsAJEmtUTW/9sT9yp4knTsd5NICKGiiR1/img.jpg)
2 ) 발전 분야
소음과 진동이 적고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가정 및 건물용 발전기로의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수소연료전지를 대규모 발전에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수소연료전지 사용의 확대는 수소 관련 기술의 발달을 촉진하고,
규모의 경제에 따라 수소 생산 단가를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수소 연료 전지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시제품제작 상담과 제작의뢰는
디자인웨일로 문의 주시면 성심성의껏 빠르게 답해드립니다.
문의사항은 디자인웨일 홈페이지와 이메일로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https://www.design-whale.com/contact
이메일:
info@design-whale.com
지금까지 시제품 개발전문기업 디자인웨일이었습니다.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G시대의 핵심기술, 빔포밍 (0) | 2023.12.01 |
---|---|
크기가 색을 정할까? 빛과 나노미터 (1) | 2023.12.01 |
미래의 이동수단, '하이퍼튜브' (0) | 2023.11.29 |
유전자 가위 기술이란? (0) | 2023.11.29 |
'카멜레온'처럼 색 바뀌는 인쇄 기술이란? (0) | 2023.11.29 |
댓글